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사자성어80

사소십다(四少十多) 사소십다(四少十多) 옛날에 한 선비가 과거시험을 치르러 한양에 갔다. 시험을 치르기 이틀 전에 연거푸 세번이나 꿈을 꾸었다. 첫 번째 꿈은 벽 위에 배추를 심는 것이었고, 두 번째 꿈은 비가 오는데 두건을 쓰고 우산을 쓰고 있는 것이었으며, 세 번째 꿈은 마음으로 사랑하던 여인과 등을 맞대고 누워있는 것이었다. 세 꿈이 다 심상치 않아 점쟁이를 찾아가서 물었더니 점쟁이 하는 말이 ''벽 위에 배추를 심으니 헛된 일을 한다는 것이고, 두건을 쓰고 우산을 쓰니 또 헛수고 한다는 것이며, 사랑하는 여인과 등을 졌으니 그것도 헛일이라는 것이니 어서 빨리 고향으로 돌아가는게 좋겠소." 라고 해몽을 해 주었다. 점쟁이의 말을 들은 젊은이는 풀이 죽어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짐을 챙기는데 ''아니 시골선비 양반! 내일이.. 2023. 8. 24.
사자신중충ㅣ獅子身中蟲 사자신중충ㅣ獅子身中蟲 ○ 사자 몸 속에 있는 벌레 ○ 獅(사자 사) 子(아들 자) 身(몸 신) 中(가운데 중) 蟲(벌레 충) 사자(獅子)를 죽음으로 모는 사자(獅子) 몸 속에 있는 벌레라는 뜻으로,불자(佛者)이면서 불법(佛法)을 해치는 자(者)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사자는 살아있을 때의 위세 때문에 죽은 시체에도 다른 짐승들이 감히 접근을 못한다. 그렇다고 불멸은 아니니 다만 몸이 썩어 속에 생긴 벌레가 그 시체를 먹어 치움으로써 사라진다. 이같이 사자의 몸에 생긴 벌레가 끄떡하지도 않을 큰 덩치를 멸하게 할 수 있다는 이 성어는 불경에서 나왔다. 불제자이면서 불법을 해치는 사람을 가리키다 자기편에 해를 끼치는 사람이나 내부에서 재앙을 불러일으키는 사람을 뜻하게 됐다. 우리나라 불교 계율의 기초를 .. 2023. 8. 22.
'고사성어' ❣ 애별리고ㅣ愛別離苦 ▶️고사성어◀️ ❣ 애별리고ㅣ愛別離苦 ○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 ○ 愛(사랑 애) 別(헤어질 별) 離(떠날 리) 苦(괴로울 고) 불교의 여덟 가지 고통 중 하나로,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을 말한다. 불교용어로 팔고(八苦) 중 하나이다. 팔고는 불교에서 중생들이 받는 여덟 가지 괴로움을 가리킨다. 불교에서는 전생에 지은 소행에 따라 현세에 대가를 치르거나 갚음을 받는다고 하는 인과응보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괴로움의 종류를 여덟 가지로 구체화한다. 팔고는 생고(苦)·노고(苦)·병고(病苦)·사고(苦)· 애별리고(愛別離苦)·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오음성고(五陰盛苦) 이다. 순서대로 앞에 네 가지 괴로움은 사고(四苦)라고 하여 인생의 네 가지 고통인 생로병사(生老病死)로 인한 .. 2023. 8. 22.
익자삼우, 빈자삼우 (益者三友, 貧者三友) 익자삼우, 빈자삼우 (益者三友, 貧者三友) 세계적 갑부였던 월마트의 창업자 샘 월튼이 임종을 앞두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니 친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것을 한탄을 하며 크게 후회하였다고 한다.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는 내가 다른 사람의 친구가 되어 주지 않았기 때문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 좋은 친구를 얻는 일은 전적으로 자신이 하기에 달렸다. 🔺️예로부터 친구로 삼지 말아야 할 사람으로는 五無를 들고 있다. 🔹️ 무정(無情), 🔹️ 무례(無禮), 🔹️ 무식(無識), 🔹️ 무도(無道), 🔹️ 무능(無能)한 인간을 말한다. 🔸️그렇다면 과연 참된 친구란?. 논어에 공자님이 제시한 세 가지 기준이 나온다. 먼저 유익한 세 친구 🔺️익자삼우(益者三友)는, 🔹️ 정직한 사람, 🔹️ 신의가 있는 사람, .. 2023. 8. 15.
728x90
반응형